카테고리 없음

가톨릭 교회의 독립성과 주권: 중국과의 합의가 주는 교훈

홍크리쓰리 2024. 11. 20. 16:44

몽골 칭기즈칸국제공항에서 환송을 나온 아동과 인사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최근 교황청이 중국과 주교 임명에 관한 합의를 연장했다는 소식은 가톨릭계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종교 지도자의 임명권이 국가의 승인에 종속되는 이번 사례는 교회의 독립성과 종교의 본질에 대한 심각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교황청은 합의의 연장을 통해 "존중과 대화"를 바탕으로 중국과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 '존중'의 의미는 누구를 위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수십 년간 중국 정부의 억압 속에서도 지하 교회 신자들은 자신의 신앙을 지키기 위해 헌신해왔다. 이들이 이제 정부의 승인을 받은 주교 아래서 종교 생활을 해야 한다는 점은, 신앙의 자유에 큰 위협으로 다가온다.

교황 프란치스코가 이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은 특히 우려스럽다. 가톨릭 교회의 독립성과 자주성은 본질적으로 종교적 신념의 순수성과 맞닿아 있다. 그러나 이번 합의를 통해 주교 임명이라는 중대한 결정이 교회의 손을 벗어나 정부의 통제를 받게 되면서, 가톨릭 교회는 역사적 원칙에서 후퇴하는 모습으로 비춰지고 있다.

이는 중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과 같은 이슬람 국가에서도 종교 지도자가 정치적 지도자와 동일시되며, 종교와 정치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사우디에서는 국왕이 종교적 권위를 행사하고, 이란에서는 최고 지도자가 정치 및 종교적 권위를 모두 쥐고 국가의 모든 중요한 결정을 주도한다. 이러한 사례들은 종교가 국가의 통제 하에 놓일 때 종교적 자유가 얼마나 제한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중국과 교황청의 이번 합의는 종교가 정치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종교는 그 본질상 도덕적 기준을 제시하고 신앙의 자유를 보장해야 하지만, 이번 사례에서 드러난 것처럼 종교가 정치적 압박에 의해 제한될 때 그 본질이 심각하게 왜곡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신자들에게 실망감을 안기며, 교회의 독립성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주교 임명이라는 중요한 종교적 행위가 더 이상 교회의 내재적 결정이 아니라 정부의 허가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 된 것은 종교의 자주성과 독립성에 대한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번 합의는 종교의 독립성과 신앙의 자유가 정치적 타협과 충돌할 때, 그 의미와 가치를 어떻게 지켜낼 것인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필요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