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주교, 아동 강간 혐의로 유죄 판결 받은 신부의 석방 시도에 대한 비밀 지원 논란
미국의 뉴올리언스에 위치한 한 대주교가 2023년 12월 18일, 아동 강간 혐의로 종신형을 선고받은 신부의 조기 석방을 비밀리에 지원한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이 사건은 뉴올리언스 대주교 그레고리 에이몬드가 자신이 감독하지 않는 신부 로버트 멜란콘의 조기 석방을 비밀리에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아동 강간 피해자인 케빈 포티어는 어린 시절 루이지애나 남부의 한 가톨릭 신부로부터 성폭행을 당했습니다. 그는 법정에 가서 가해자를 신문하여 종신형을 선고받았습니다. 그러나 그의 삶의 말기에 교회 대표자들은 그의 가해자인 멜란콘의 조기 석방을 지지하며 포티어에게 압력을 가했습니다. 포티어는 이에 분노하여 지역 교구 지도자들에게 답변을 요구했지만, 결국 뉴올리언스의 교회 관계자들이 석방을 시도한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대주교 에이몬드의 비밀적인 지원에는 뉴올리언스 대교구가 감옥 관리인, 루이지애나 교정국 국장, 주지사에게 접근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에이몬드는 이러한 석방 시도를 비밀리에 승인했으며, 교구 관계자들에게 법적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했습니다. 멜란콘의 건강이 악화되어 공공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으로 석방이 추진되었습니다.
멜란콘의 석방을 위해 활동한 변호사 VM 휠러 3세는 나중에 아동 성추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그는 멜란콘이 건강 악화로 인해 공공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그를 교구가 운영하는 요양원으로 이송하는 계획을 추진했습니다.
이번 사건은 교회의 구조적 문제와 권위주의 문화를 다시 한 번 드러냈습니다. 과거에도 비슷한 사건들이 발생했지만, 교회는 이를 체계적으로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뉴올리언스 대교구는 공공적으로 성추행 피해자들에 대한 동정을 표명하면서도, 비밀리에 가해자들을 보호하는 행동을 취해왔습니다. 대주교 에이몬드는 2020년에 파산을 신청하면서 피해자들에게 공정한 보상을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그런 일이 없었습니다. 교구는 지난 10년 동안 1,170만 달러의 합의금을 지불했지만, 파산 절차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은 교회의 근본적인 문제를 드러내었으며, 내부적인 구조적 문제와 권위주의 문화가 계속되는 한, 이러한 문제들은 계속해서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교회는 신뢰 회복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지만, 실질적인 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보다 강력하고 체계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