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세계로교회 압수수색, ‘종교탄압’이라는 고신총회의 위험한 주장

홍크리쓰리 2025. 6. 20. 19:41

 

지난 3월 16일 부산 세계로교회 유튜브에 올라온 정승윤 부산교육감 재선거 후보와 손현보 담임목사의 교회 내 마이크를 이용한 대담 영상. ⓒ 부산 세계로교회 유튜브 갈무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기독일보에 실린 「세계로교회 압수수색을 규탄한다」라는 기사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기사를 처음 읽고는 솔직히 당황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기독 언론이라고는 하지만, 사실 확인보다 특정 교단(고신총회)의 입장을 거의 일방적으로 대변하는 듯한 모습이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고신총회의 주장에 담긴 편향성, 논리적 오류, 그리고 종교단체로서 가져야 할 책임에 대해 조금 더 냉정하게 생각해보려 합니다.


🔍 종교의 자유 vs. 법 위반: 선을 넘은 주장

기사는 부산경찰청이 세계로교회 손현보 목사를 상대로 압수수색을 진행한 것을 두고 “헌법상 종교 자유를 침해한 종교 탄압”이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건 상황을 너무 단순화한 시각입니다.

문제가 된 사건은 단순히 예배 시간 중 있었던 “짧은 대담”이 아닙니다. 선거운동 기간 이전에 특정 교육감 후보와 목회자가 교회 내에서 대담을 나누고, 그것을 교회 유튜브에 게시한 건 명백히 공직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선거관리위원회가 고발을 진행한 사안입니다.

헌법이 보장하는 종교의 자유는 종교가 법 위에 있다는 뜻이 아닙니다. 교회라고 해서 정치 개입이나 선거운동의 책임에서 예외가 될 수는 없다는 말이죠.


⚠️ 고신총회와 기사에 나타난 편향된 시각

기사는 고신총회가 압수수색을 “일제강점기나 군사정권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탄압”이라고 표현한 부분을 그대로 인용하며 정당화합니다. 솔직히, 이건 너무 지나친 비교 아닐까요?

일제강점기와 군사정권 시절의 종교 탄압은 물리적 억압과 사상 통제를 동반한 체계적인 박해였습니다. 반면 이번 사건은 ‘법 위반 여부’에 대한 수사입니다. 이런 식의 역사적 비유는 감정만 자극할 뿐, 논리적 설득력은 떨어집니다.


🧠 논리적 비약과 자기모순들

글을 읽다 보면 설득력을 떨어뜨리는 여러 가지 오류가 눈에 띕니다.

  • 허수아비 논법: 마치 경찰이 ‘신앙 자체’를 문제 삼은 듯 주장하지만, 사실 경찰이 문제 삼은 건 종교를 빌미로 한 정치 개입이었습니다.
  • 이중잣대: 고신총회는 “국가는 교회에 개입 말라”고 주장하면서도, 정작 교회가 정치에 개입한 것은 “책무”라고 주장합니다. 앞뒤가 맞지 않는 논리죠.
  • 자기모순: “우리는 법치국가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자신들에게 불리한 수사에는 “강력히 저항하겠다”고 말합니다. 법은 좋지만 나한테 적용되면 안 된다는 태도처럼 보입니다.

🚨 교단 중심 사고의 위험성

더 큰 문제는, 교단이 외부의 비판을 ‘신앙 탄압’으로만 몰아가는 태도입니다. 이번 사건에서도 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성찰하거나 해명을 하기는커녕, 곧바로 “우리는 피해자”라는 입장만 내세웠습니다.

이런 사고방식은 교회가 어떤 잘못을 저질러도 외부의 지적을 “교회에 대한 공격”으로 치부하게 만듭니다. 결국, 교회가 잘못을 저질러도 자기반성 없이 ‘우리는 거룩하다’는 식의 논리로 문제 제기를 봉쇄하는 문화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과거에도 일부 교단에서는 성폭력이나 횡령 사건이 터졌을 때, 문제 해결보다 “교회 명예 실추”만 걱정했던 사례들이 있었죠. 고신총회의 이번 대응 역시 그런 부정적인 흐름을 반복하는 건 아닌지 걱정스럽습니다.


📰 종교 언론의 책임, 그리고 중립성 회복을 바라며

종교 언론은 교단의 대변인이 아닙니다. 특히나 영향력 있는 언론이라면, 종교적 시각 안에서도 최소한의 사실 검증과 균형 잡힌 시각은 필수입니다.

기독일보의 해당 기사처럼, 교단 성명서를 거의 그대로 옮기며 사실관계는 무시한 채 ‘종교 탄압’이라는 프레임만 강조한다면, 종교 언론의 신뢰도는 점점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 진정한 종교의 역할이란?

신앙 공동체가 정치적 중립성을 지키는 건 선택이 아니라 의무입니다. 신앙은 개인의 양심과 도덕을 이끄는 중요한 가치일 수 있지만, 그것이 특정 후보를 띄우는 수단으로 전락할 때, 종교의 순수성과 공공성은 무너질 수밖에 없습니다.

고신총회가 주장한 “교인들이 올바른 투표를 하게 하는 책무”라는 말도, 실제로 그 과정이 선거법 위반이라는 점에서 정당성을 잃는 겁니다.

종교의 자유는 헌법이 보장하지만, 그 자유는 절대적인 면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했으면 합니다.


✍️ 마치며

이번 사건을 통해 드러난 것은, 교회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을 때 어떤 혼란이 발생할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종교의 이름으로 법 위반을 감싸고, 정당한 수사조차 ‘탄압’으로 몰아가는 태도는 결국 진짜 종교의 신뢰를 해칠 뿐입니다.

지금이라도 고신총회와 관련 교회는 수사에 협조하고, 종교의 이름으로 세속 권력에 영향을 미치려 한 부분에 대해 책임 있게 성찰하길 바랍니다. 진정한 종교는 겸손과 성찰에서 출발해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