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교회, ‘디즈니랜드’가 되다? 신앙과 상업화 사이의 딜레마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우리가 깊이 생각해볼 만한 주제를 하나 꺼내보려고 해요. 바로 ‘가톨릭교회의 상업화’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바티칸 하면 대부분 성 베드로 대성당, 교황님, 그리고 오랜 역사와 전통을 떠올리죠. 그런데 요즘은 이곳이 ‘종교의 성지’이자 거대한 ‘관광 산업’의 중심지로 변모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어요. 심지어 일부에선 “하느님의 디즈니랜드”라는 표현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과연 무슨 일인지 함께 살펴볼까요?

1. 바티칸 재정, 관광과 상업활동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을까?
바티칸 시국은 자체적인 산업이 거의 없고, 대신 관광과 자산 운용에 크게 의존합니다. 바티칸 박물관만 해도 2019년 한 해 동안 약 700만 명의 방문객을 맞이했고, 거의 1억 달러에 육박하는 수익을 올렸어요. 이 수익은 바티칸 재정에 큰 도움이 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때 관광객이 줄자 수입이 25~45%나 급감하는 위기도 겪었습니다.
바티칸은 박물관 입장료 외에도 시스티나 성당 투어, 기념주화·우표 판매, 출판물 판매 등 다양한 상업 활동을 벌이고 있죠. 특히 바티칸에서 발행하는 희소성 높은 주화와 우표는 전 세계 수집가들의 관심을 끌며 적지 않은 수익을 만들어냅니다.
하지만 이런 수입과 지출 내역에 대한 투명성은 아쉬운 편입니다. 공식적인 재정 보고가 제한적이고, 구체적인 숫자는 잘 공개되지 않으니 말이죠.
또한 바티칸은 막대한 부동산과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방만한 운영과 내부 관리 문제로 재정난을 겪는 상황입니다. 고정비용이 높고, 과거 투자 손실도 있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교회는 수익을 늘리기 위해 관광과 상품 판매 등 상업 활동에 더욱 힘쓰고 있습니다.
2. 신앙의 상징에서 브랜드 상품으로… 종교 상품의 ‘브랜드화’
가톨릭교회가 판매하는 묵주, 성상, 메달 등 성물은 단순한 기념품이 아니라 신앙의 상징입니다. 하지만 이제는 이들이 체계적으로 ‘교황 브랜드’ 상품처럼 관리되고 있죠.
바티칸 박물관이나 성당 주변에 있는 기념품점에서는 ‘교황 축복 카드’, ‘정품 로자리오’ 등을 꽤 높은 가격에 팔고 있습니다. 교황의 얼굴이 들어간 주화나 우표도 한정판으로 수집가들의 관심을 받고 있죠.
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당시에도 교황 이미지가 들어간 상품들이 불티나게 팔려,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어요. 심지어 ‘바티칸’이라는 이름 사용권을 두고 법적 분쟁까지 벌여가며 브랜드 보호에 힘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신자와 보수 매체들은 “신전에서 상인들이 장사하는 모습”이라며 상업화에 대한 비판을 멈추지 않습니다. 신앙과 상품 판매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종교적 신성함이 퇴색되고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죠.
3. 순례와 신앙 행사마저 ‘돈’이 된다? 유료화 논란
세계청년대회(World Youth Day) 같은 대규모 신앙 행사는 가톨릭 교회의 중요한 행사지만, 운영 방식에선 상업화 논란이 끊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리스본에서 열린 대회에는 무려 1억 9천만 달러의 공공 예산이 투입되었고, 교황 미사용 야외 제대 설치에만 수백만 유로가 들어갔습니다. 현지에서는 ‘혈세 낭비’라며 반발도 컸죠.
참가자들도 전부 무료가 아니에요. 2016년 폴란드 대회에서는 전체 예산의 81%가 참가자 등록비로 충당되었는데, 이는 사실상 경제적 부담이 요구되는 구조입니다.
또한 기업 협찬과 정부 후원으로 복잡하게 얽히면서, 이런 행사들이 점점 ‘종교 이벤트’라기보다 ‘상업 이벤트’처럼 변질되고 있죠. 순례 여행도 예외가 아닙니다. 유명 성지들은 호텔과 기념품점이 넘쳐나 ‘하느님의 디즈니랜드’라는 별명을 얻었고, 병입 성수 판매나 암거래 입장권 등 신앙과 돈이 뒤섞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마치며 — 신앙과 상업, 그 경계에서
가톨릭교회는 신앙 공동체이면서 동시에 세계적인 자산과 브랜드를 가진 거대 조직입니다. 현실적인 운영을 위해 수익 활동은 불가피하다는 주장도 이해가 가요.
하지만 신성한 신앙이 지나치게 상품화되면서, 많은 신자와 일반인들이 불편함과 의문을 느끼는 것도 사실입니다. 중요한 건, 교회가 벌어들이는 수익이 정말로 공익과 사랑 실천에 쓰이고 있는지, 그리고 상업적 행위가 신앙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지 끊임없이 돌아봐야 한다는 점 아닐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