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플레이를 통한 레오 14세 교황의 이미지 구축: 비판적 분석
2025년 5월 8일, 미국 출신의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 추기경이 교황으로 선출되어 레오 14세 교황이 되었다. 이는 가톨릭 역사상 최초의 미국인 교황이자, 근대 이후 첫 아우구스티노회 출신 교황이며, 프란치스코에 이어 두 번째 아메리카 대륙 출신 교황이라는 점에서 전 세계 언론과 가톨릭 매체의 주목을 받았다.
본 분석은 바티칸 뉴스, 가톨릭 뉴스 통신(CNA), 내셔널 가톨릭 리포터(NCR) 등 주요 가톨릭 매체들의 보도를 중심으로 레오 14세 교황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쓰인 언론 프레임과 수사 전략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언론 이미지와 교회의 구조적 현실 간 괴리를 평가한다.
1. 교황 이미지 구축을 위한 주요 언론 프레임
1-1. “역사적인 첫 미국인 교황” 프레임
- 미국 시카고 출신 최초 교황임을 강조하며, 교황을 ‘역사적 상징’으로 부각
- 미국 외 지역 언론도 자국과의 연결성을 강조하여 ‘우리 출신 교황’ 서사 구축 (예: 페루 치클라요 시민권자 강조)
- 다문화적·보편적 교회 지도자라는 인식 확산을 위한 전략적 프레임
- 수도회 출신(아우구스티노회) 정체성도 동시에 부각, 국가 정체성 너머 영적·보편적 리더로 자리매김
1-2. “소탈한 인간미와 겸손한 목자” 프레임
- 헬스장 트레이너 일화(‘로버트’라는 평범한 이름으로 헬스장 다님) 등 소박하고 친근한 개인적 모습 강조
- 운동광, 스포츠팬, 재난 현장 방문 등 일상적이고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내 독자와의 심리적 거리 좁힘
- ‘진흙 장화 신은 교황’ 등 목가적 서사를 통해 ‘냄새 나는 양의 목자’ 이미지 계승
- 다만, ‘진흙 장화’ 현장은 언론플레이임이 뒤늦게 드러나면서 인간미 서사의 이면에 ‘쇼’의 가능성도 존재함
1-3. “개혁 계승자이자 소통하는 리더” 프레임
- 프란치스코 교황의 개혁 노선을 잇는 ‘참여형, 소통형’ 리더십 강조
- 제2차 바티칸공의회 정신과 시노드 정신 계승을 내세워 ‘열린 교회’, ‘포용 공동체’ 이미지를 부여
- 바티칸 공식 매체와 중도·진보 가톨릭 언론에서 주로 조명
- 전통적 복장 선택에 따른 보수 성향 매체들의 ‘전통적 노선’ 기대와, NCR의 본질적 영성 강조를 통한 피상적 해석 경계 사이 균형
2. 반복적 수사 표현과 기사 내용 특징
- “첫 미국인 교황”, “첫 아우구스티노회 교황” 등 상징적 수사 반복
- “소탈한”, “친절한”, “차분한” 등 긍정적 인격 묘사 형용사 빈번
- ‘헬스장’, ‘테니스’, ‘야구’, ‘피자’ 등 일상 친근 단어 활용해 대중성 확장
- 성경적·영적 어휘(‘목자’, ‘양 떼’, ‘형제애’, ‘평화’)와 전임자·공의회 인용 통한 신앙적 연속성 강조
- ‘진흙 속의 목자’ 등 강렬한 비유도 사용하여 예언자적 이미지 부여
3. 미디어 서사와 교회 개혁 과제 간 괴리
3-1. 성직자 성범죄 및 투명성 문제
- 성학대 스캔들 문제는 언론 초기 보도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아 ‘인간미’ 서사에 가려진 현실 과제
- 피해자 대응 및 구조 개혁에 대한 교황 개인 및 교황청의 구체 계획에 관한 심층 분석 부재
- 이미지 구축에 집중한 나머지 비판적 감시 기능 약화
3-2. 교회 내 개혁 지속성 및 내부 갈등
- 프란치스코 교황이 시작한 쿠리아 개혁·금융 투명성 강화 등 과제 미완 상태
- 국가별 교회 간 동성애 환대, 평신도 역할 확대 등 신앙 해석과 적용에서 심각한 내부 분열
- 보수-진보 진영 간 긴장 내재, 전통주의 진영의 강한 비판 목소리 존재
- 대중지향 초기 보도는 이런 복잡한 현실과 긴장 구조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함
4. 헬스장 트레이너 일화 등 인간미 서사의 전략적 의미
- 친근한 일상 에피소드를 통해 권위적인 교황 이미지를 희석하고, 일반 신자와 심리적 거리 축소
- 일상 속의 ‘보통 사람’으로서 교황을 보여 줌으로써 현대적 이미지 메이킹
- 그러나 진실 여부가 뒤늦게 드러난 일부 ‘쇼’ 요소는 오히려 교황 이미지 신뢰성에 잠재적 부담
- 대중의 정서적 호응과 동시에 교황의 권위와 신성성 사이에서 미묘한 긴장 관계
결론
주요 가톨릭 언론은 레오 14세 교황을 ‘역사적 첫 미국인’이자 ‘소탈하고 겸손한 목자’, ‘프란치스코 개혁 계승자’라는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이미지로 전략적으로 구축했다. 반복적 수사와 일상적 인간미 에피소드를 통해 대중과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 친근성을 강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언론플레이는 가톨릭교회의 구조적 문제와 복잡한 개혁 과제를 충분히 조명하지 못한 한계를 드러낸다. 성직자 성범죄 문제, 교회 내부의 이견과 갈등, 교황청 개혁의 불확실성 등은 언론 서사에서 주변화된 채, 교황 개인 이미지에 대한 일방적 찬사가 오히려 현실 개혁 과제의 심층적 논의를 가리는 위험성을 내포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언론 보도는 레오 14세 교황 개인의 매력과 비전뿐 아니라, 그가 직면한 교회의 본질적 문제들에 대한 진지한 검증과 균형 잡힌 조명을 요구한다.